반응형

 

 

 

오늘저녁  커피 한잔할래요? 조선 천재 화가 김홍도와 마시는 커피 한잔, 안산 김홍도 축제, 공원, 미술관, 카페 촬영지 장소 위치 어디? 10월 12일  

MBC 생방송 오늘저녁 

방송 리뷰 후기 노트

 

 

2022년 10월 12일 저녁 6시 10분 생방송 오늘저녁 방송에서는 [커피 한잔할래요?] 조선천재화가 김홍도와 마시는 커피 한잔 편이 방영되며, 경기도 안산에서 펼쳐지는 김홍도 축제와 김홍도와 관련된 공원, 미술관, 카페를 찾아갑니다. 


조선 시대의 천재 화가, 단원 김홍도! 사람들이 모여 씨름 구경하는 모습, 서당에서 아이가 혼나는 모습 등 서민들의 일상을 그린 풍속화부터 아름다운 자연 풍광을 사진처럼 담아낸 산수화, 당시 임금이었던 정조의 초상화까지~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완벽한 작품들을 남겨 ‘천재 화가’라고도 불린다는데!


이런 김홍도가 어린 시절 그림을 배운 곳이 있었으니~ 그곳은 바로 경기도 안산! 김홍도는 어린 시절, 조선 최고의 화가였던 표암 강세황에게 가르침을 받으며 안산에서 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안산시는 김홍도의 호인 ‘단원(檀園)’을 따 자치구의 이름을 ‘단원구’로 지으면서 그의 예술정신을 계승하고 있다는데~


그뿐만 아니라 김홍도의 작품들을 어디서나 볼 수 있도록 벽화를 만들고, 그림 속으로 들어온 듯 당시의 풍경과 분위기를 생생히 느낄 수 있는 ‘김홍도 마을’까지 조성했다고! 죄인에게 형벌을 내리던 곤장대부터 무명 같은 옷감을 파는 포목점까지 200여 년 전 그대로 재현한 것은 물론~ 김홍도의 그림 ‘삼일유가’를 표현한 마당극까지 상연한다는데! 여기에 김홍도의 풍속화가 그려진 컴에 즐기는 커피 한 잔의 여유까지~ 조선 시대의 유일무이한 화가, 김홍도의 숨결을 따라 안산으로 떠나본다.

 

이 블롤그 인기글 보기 ▼▼▼

오늘저녁 천안 해물칼국수 옆집 부자의 비밀 노트 촬영지 식당 맛집 어디? 10월 11일 연월 매출 5천! 줄 서서 먹는 해물칼국수의 비밀

 

오늘저녁 천안 해물칼국수 옆집 부자의 비밀 노트 촬영지 식당 맛집 어디? 10월 11일 연월 매출 5

오늘저녁 천안 해물칼국수, 옆집 부자의 비밀 노트 촬영지 식당 맛집 어디? 연 매출 6억, 줄 서서 먹는 해물칼국수의 비밀 칼국수 없는 해물칼국수 MBC 생방송 오늘저녁 방송 리뷰 후기 노트 2022년

korea-hotplace.tistory.com

#오늘저녁 #오늘저녁방송 #생방송오늘저녁 #오늘저녁촬영지 #오늘저녁맛집 #오늘저녁나온장소 #오늘저녁방송정보 #생방송오늘저녁방송정보 #퇴근후엔 #퇴근후N #이맛에산다 #저푸른초원위에 #커피한잔할래요 #안산 #김홍도축제 #경기 #안산 #성호공원 #김홍도미술관 #카페 #미술관옆집 #안산카페 #김홍도카페 

 

 

아래 장소 정보는 현지 사정으로 인해 일부 내용이 변경되었을 수 있어요. 방문 또는 이용 전 공식 채널(홈페이지, SNS 등)을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방송 직후에는 가게(업체)가 혼잡할 수 있으니 시간 여유를 두고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커피 한잔할래요?>
▶안산 김홍도축제
주소: 경기 안산시 단원구 화랑로 259 화랑유원지
기간: 2022.10.14.~10.16.

▶성호공원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호로 113

▶김홍도미술관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422
전화: 080-481-4000


▶카페 미술관옆집
주소: 경기 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422
전화: 031-411-4986

 

 

김홍도에 대해 알아보기 

조선시대의 화가. 영.정조의 문예부흥기부터 순조 연간 초기에 활동했다. 어린 시절 강세황의 지도를 받아 그림을 그렸고, 그의 추천으로 도화서 화원이 되어 정조의 신임 속에 당대 최고의 화가로 자리 잡았다. 산수, 인물, 도석, 불화, 화조, 풍속 등 모든 장르에 능하였지만, 특히 산수화와 풍속화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김홍도(金弘道)는 1745년(영조 21)에 태어났다. 출신 가문은 원래 무반에서 중인으로 전락한 집안이라는 것만 확인되고, 어디에서 태어났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그의 나이 7, 8세 때부터 경기도 안산에 있는 강세황(姜世晃)의 집에 드나들며 그림을 배웠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어린 시절을 안산에서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 강세황은 당대의 감식가이며 문인화가로 이 두 사람의 관계는 스승과 제자로 시작하여 다음에는 직장의 상하 관계로, 나중에는 예술적 동지로 강세황이 세상을 떠나는 1791년, 김홍도의 나이 47세까지 이어졌다.

김홍도는 강세황의 추천으로 이른 나이에 도화서의 화원이 되었다. 20대 초반에 이미 궁중화원으로 명성을 날렸으며, 1773년에는 29세의 젊은 나이로 영조의 어진과 왕세자(뒤의 정조)의 초상을 그렸다. 그리고 이듬해 감목관의 직책을 받아 사포서에서 근무했다. 1781년(정조 5)에는 정조의 어진 익선관본을 그릴 때 한종유(韓宗裕), 신한평(申漢平) 등과 함께 동참화사로 활약했으며, 이에 대한 포상으로 경상도 안동의 안기찰방을 제수 받았다. 이 무렵부터 명나라 문인화가 이유방(李流芳)의 호를 따서 단원(檀園)이라 스스로 칭했다. 이는 이유방이 지닌 문사로서의 고상하고 맑은 정신과 기묘하고 아취가 있는 그의 그림을 사모한 데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조희룡의 『호산외사』에 의하면 “(김홍도는) 풍채가 아름답고 마음 씀이 크고 넓어서 작은 일에 구속됨이 없으니 사람들은 신선 같은 사람”이라고 했다. 강세황 역시 「단원기」에서 “단원의 인품을 보면 얼굴이 청수하고 정신이 깨끗하여 보는 사람들은 모두 고상하고 세속을 초월하여 아무 데서나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이 아님을 다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적었다. 김홍도는 회화에서뿐 아니라 거문고, 당비파, 생황, 퉁소 등을 연주하는 음악가로서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일찍부터 평판이 높았던 서예가이고, 빼어난 시인이었다. 그의 작품에 고졸한 아취가 흐르는 것은 바로 이러한 멋과 문기(文氣)가 번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김홍도는 1791년에는 정조의 초상을 그리는 일에 또 한 번 참여하게 되었고, 그해 12월 포상으로 충청도 연풍현감에 발령받았다. 이는 중인 신분으로 그가 오를 수 있는 종6품에 해당하는 최고 직책이었다. 정조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서 그는 당대 최고의 화가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김홍도는 충청위유사 홍대협(洪大協)이 조정에 올린 보고가 발단이 되어 만 3년 만에 연풍현감 자리에서 파직되었다.

1795년 서울로 돌아온 김홍도는 그림에 전념했다. 그의 나이 51세로 원숙기에 접어든 그는 이때부터 단원화풍이라고 불리는 명작들을 그려내기 시작했다.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으로 행차하는 광경을 그린 《원행을묘정리의궤》는 조선시대 기록화의 기념비적 대작이고, 《을묘년화첩》과 《병진년화첩》은 우리나라 진경산수의 온화하고 서정적인 아름다움을 유감없이 표현한 명작이다. 김홍도는 이전의 작품에서 보여준 화원다운 치밀함과 섬세함 대신 대가다운 과감한 생략과 스스럼없는 필묵의 구사로 단원 산수화의 진면목을 보여주었다.

김홍도는 만년에 이르러 농촌이나 전원 등 생활 주변의 풍경을 사생하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 이러한 사경(寫景) 산수 속에 풍속과 인물, 영모 등을 가미하여 한국적 서정과 정취가 짙게 배인 일상의 모습을 화폭에 담았다. 그는 산수뿐만 아니라 도석인물화에서도 자신만의 특이한 경지를 개척했는데, 화원이었던 그가 도석인물화를 많이 그리게 된 것은 당시 서민사회에 널리 퍼져 있던 도석신앙과 관계가 깊다. 굵고 힘차면서 투박하고 거친 느낌의 선이 특징인 그의 도석인물들은 후기에 오면서 화폭의 규모도 작아지고 단아하면서 분방한 필치를 띄게 되었다.

김홍도는 산수, 인물, 도석, 불화, 화조, 초충 등 회화의 모든 장르에 뛰어났지만 특히 풍속화를 잘 그린 화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조선 후기 농민이나 수공업자 등 서민들의 생활상을 소재로 하여 길쌈, 타작, 대장간, 고기잡이 등 그들이 생업을 꾸려가는 모습과 씨름, 무동, 윷놀이 같은 놀이를 즐기는 모습, 빨래터와 우물가, 점심 등 서민의 삶과 정서에 밀착된 일상의 모습을 간략하면서도 생동감 있게 표현했다. 그의 풍속화에는 박진감 넘치는 구성과 예리한 관찰, 그리고 인간적인 따뜻한 시선이 담겨 있으며, 활달하고 건강한 한국적 해학과 정감이 묻어난다. 그리고 무엇보다 흰 바지와 저고리를 입은 둥글넓적한 우리 서민의 얼굴이 한국적인 정취를 흠씬 느끼게 한다.

김홍도는 왕의 어진에서 촌부의 얼굴까지, 궁중의 권위가 담긴 기록화에서 서민의 삶의 애환이 녹아 있는 속화까지 신분과 장르를 아우르며 그림을 그렸다. 화가 신분으로 종6품에까지 오르는 세속적 출세를 맛보았고, 비록 말년에는 가난과 고독 속에 생을 마감했으나 일생동안 시를 읊고 고졸한 멋을 즐길 줄 아는 진정 위대한 화인이었다. 김홍도의 작품은 조선시대 우리 문화와 역사를 고찰하는 데 절대적인 기여를 했으며, 동시대와 후대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의 아들인 양기(良驥)를 비롯하여 신윤복(申潤福), 김득신(金得臣), 김석신(金碩臣), 이인문(李寅文), 이재관(李在寬), 이수민(李壽民), 유운홍(劉運弘), 이한철(李漢喆), 유숙(劉淑) 등이 그의 영향을 받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김홍도 [金弘道]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참고사항]

※ 사진 출처: MBC 생방송 오늘 저녁 방송

※ 해당 방송 및 업체, 출연자와 상업적 연관없으며, 대가없이 작성한 개인리뷰입니다. 

※ 수정해야 하는 내용이 있으면 이 글에 댓글 남겨주세요.글은 비공개로 작성됩니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